'2021/01/31 글 목록
반응형

2021/01/31 4

윈도우 화면 분할로 멀티태스팅 활용하기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2가지 이상의 작업을 하게 될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럴 경우 일반적으로 각각의 화면 창을 윈도우 화면에 알맞게 조절해서 맞춰 사용하죠. 이런 별도의 작업없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Windows 10에서 제공을 하고 있어 알려드리겠습니다. 정말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알찬 기능입니다. 바로 “윈도우 키”와 “방향키” 단축키로 화면을 분할을 다양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창을 하나 열고, 화면 분할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좌측으로 화면을 이동해 보겠습니다. 해당 키는 “윈도우 키+방향키(←)" 입니다. 다음으로 좌측에서 상단에 위치를 해보겠습니다. 해당 키는 “윈도우 키+방향키(↑)" 입니다. 다음은 화면을 우측으로 넘겨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키는 “윈도우 키..

스마트폰과 윈도우 연결 방법으로 편리하게 사용하기

스마트폰 화면을 확대해서 볼 수 있다면 눈의 피로도 덜 하게 될 것이고, 다른 사람과도 같이 사진이나, 영상을 볼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예전에는 별도 미러링 케이블을 사용해서 유선으로 TV나 모니터에 연결해서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폰 기능 중에서 별도의 케이블이 없이도 무선으로 디바이스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Windows와 연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기능은 단순하게 화면만 크게 볼 수 있는게 아니라 다양한 기능과 PC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멀티 기능입니다. 스마트폰 화면을 PC에서 볼 수 있고, 모든 조작도 가능합니다.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고, 휴대폰의 사진을 관리(열기,복사,저장 등) 할 수 있습니다. 연락처 검색과 전화를 걸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

인터넷 IP 주소, 클래스, 서브넷마스크 란

[IP 주소란]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들이 가진 고유한 주소이고, 32bit 길이로 구성되며, 네트워크 식별자와 호스트 식별자로 구성 됩니다. 실제 IP주소는 2진수의 표기로 0과 1로 구성됩니다. 즉, ‘11000000.10101000.xxxxxxxx.xxxxxxxx’ 이라고 구성이 되지만, 실제 IP주소는 사람들이 알기 쉽게 10진수 값인 “192.168.xxx.xxx”으로 나타냅니다 IP주소는 네 개의 클래스로 나뉘며,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목적지 대상에 따라 Unicast, Multicast, Broadcast로 구분됩니다. IP Class 는 일반적으로 4가지로 구분이 되는데 각 구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Class A는 하나의 네트워크에 가장 많은 호스트를 가지는 클래스 입니다. 첫 바이트의..

인터넷 IP구조, 네트워크 주소체계 알아볼까요

우리가 인터넷, 네트워크를 사용하면서 없어서는 안되는 ‘IP Address’ 가 있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하는 PC의 주소를 말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우편과 같이 주소가 있어야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중요한 구조와 주소체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P(Internet Protocol)이란, 전송 경로의 확립이나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의 정의에 의한 네트워크의 논리적 관리 등을 담당하며, TCP/IP 프로토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주요 특성 4가지] 를 보면 비신뢰성 (Unreliable) : IP 데이터그램이 목적지에 성공적으로 도달한다는 것을 보장하지 않음 비접속형 (Connectionless) : 전달되는 데이터그램에 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