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인터넷을 매일 이용하지만 구성하는
장비와 데이터가 어떻게 흘러가는지는 잘 모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터넷을 구성하는 장비들에 대한 이름과
그 특징과 역할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리피터
OSI 모델의 물리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로
동일 LAN에서 그 거리의 연장이나
접속 시스템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장비입니다.
전송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재생하여 이를 다시 전송합니다.
■ 허브(HUB)
차바퀴의 중심부분과 같이 각 컴퓨터들의
중앙 연결지점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단순히 하나의 스테이션에서 수신한 신호를
정확히 재생하여 다른 쪽으로 내보내는 장치이며,
허브 장치는 3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1)더미 허브(Dumb Hub)
단지 망에 있는 컴퓨터들 간의
중계 역할 만을 담당하는 장비입니다.
일반적으로 전체 대역폭을
각 스테이션이 분할하여 쓰는 방식으로,
허브에 연결된 스테이션이 어느 정도 이상 증가하게 되면
Network 의 심각한 속도 저하가 발생하며
보통 10대 정도의 소규모 LAN 환경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2)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스위칭 기능을 가지고 있는 허브로 스테이션들을
각각 점-대-점으로 접속시키는 장비입니다.
전이중 방식으로의 통신으로
CSMA/CD 방식의 네트워크에서도 충돌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더미 허브보다 훨씬 우수한 전송 속도를 보장합니다.
3)스태커블 허브(Stackable Hub)
네트워크가 계속 확장될 때
허브와 허브 사이를 연결하는 장비입니다.
스태커블 허브끼리는 케스케이드(Cascade) 케이블이라는
전용 케이블을 사용하고,
허브와 허브를 일반 허브로 연결하면
전송속도의 저하가 일어날 수 있지만
스테커블 허브를 사용하면 그런 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 브리지(Bridge)
복수의 LAN을 결합하기 위한 장비로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하는 네트워킹 장비
전체프레임을 수신할 때까지 전송하지 않지만,
프레임의 내용을 변경하지 않습니다.
[브리지의 역할] 을 보면,
서로 다른 LAN을 목적에 따라 서로 연결함으로써
서로간의 상호 작용성을 높이고
전체 망에 대한 스테이션의 수 혹은 거리를 확장합니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많은 수의 스테이션에 의해
야기되는 트래픽 병목현상을 줄이며
네트워크를 분산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입니다.
'투명 브리지'(Transparent Bridge, Spanning Tree Bridge)
비연결형으로 각 프레임을 다른 프레임들로부터
독립적으로 필터링하는 브리지입니다.
설치 초기에 자동적으로 구성되며
어떤 관리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소스 라우팅 브리지'(Source Routing Bridge)
연결형으로 발견 프레임(Discovery Frame)으로
필터링 테이블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필터링을 합니다.
각 스테이션은 브리지 방식을 완전히 알아야 하며
초기 설치 시 수동적으로 관리자가 설치하고,
최적의 필터링을 합니다.
■ 라우터(Router)
인터넷에서 IP 네트워크들 간을 연결하거나,
IP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입니다.
Network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라우터의 기능] 을 보면
이 기종 LAN 간 및 LAN을 WAN에 연결하는 기능을 하고,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는 라우팅 기능을 하며,
에러 패킷에 대한 폐기 등의 기능 등을 합니다.
라우팅 테이블의 관리 기법에 따른 라우터의 분류를 보면
라우터 상에서 관리자가 수동적인 방법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관리하는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과
라우팅 정보의 교환을 통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자동적으로 관리하는
동적라우팅(Dynamic Routing)이 있습니다.
■ 백본스위치(Backbone Networks)
여러 망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스타 백본을 collapsed backbone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인터넷을 이루는 여러 기능의
장비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해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정보통신 기술 > IT 기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IP구조, 네트워크 주소체계 알아볼까요 (1) | 2021.01.31 |
---|---|
[DNS] 인터넷 주소 도메인 이란 무엇인가? (0) | 2021.01.22 |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종류와 개념 (0) | 2021.01.18 |
USB PD(Power Delivery), 고속충전기술이란 무엇인가 (0) | 2020.12.17 |
이동통신 기술 발전과정과 특징 알아보자 (0) | 2020.11.18 |